본문 바로가기
안경과 눈

눈의 시력과 안경 도수 각각의 의미 는요

by kelly325 2023. 5. 3.
반응형

눈의 시력, 그리고 안경 도수는 각각 어떤 것을 말할까요?

간혹 어떤분이 시력검사를 해달라거나, 시력 좀 알려달라 고 하실 때가 있어요, 제가 "어떤 곳에 어떻게 필요하신 지"를 여쭤보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게, 왜 그렇게 물어보는지 설명드릴게요.

가끔은 요구받은 것이 시력인지 도수인지 , 잘 모르시거나, 반대로 물어보시는 경우가 많아서요.

자세히 물어보면, ' 이 경우엔 이게 필요하실텐데요', 제가 정정해 드리기도 합니다. 단순히 현재 잘 쓰고 있는 편한 도수를 측정해 가면 되는 경우도 있고, 교정시력이 정해진 수치 이상 꼭 나와야 하는 경우도 있거든요.(운전면허 갱신이나 직업 특성상 )

그래서, 시력과 도수 어떻게 다른건지 오늘 말씀드리려고 해요


 
시력검사-글자

이론적으로,

.시력의 의미는 시력(, Vision ) , 눈으로 정지된 물체를 볼 때 미세한 부분을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안과나 안경원이나 혹은 신체검사 등에서 측정하는 1.2니 1.0이니 0.1이니 하는 수치다(namuwiki.)

위와 같이 시력이라는 단어의 뜻대로

식별할 수 있는 능력 =보는 능력(힘)입니다.

 

사회적으로 어떤 필요에 의해 일정 규격의 시력표를 만들고 그 수치 안의 글씨를 읽을 수 있는 눈을 0.1 ,0.2 이런 식으로 편의상 수치로 표현을 하는 것 이랍니다.

공부를 하거나, 운전을 하거나 또는 직업상, 그 사람이 어느 정도를 보고 , 판독할 수 있는지 직업상, 작업상 기준 조건이 필요하니까요,

눈의 굴절력의 수치의 조합은 거의 무한하다 시피한데 2.0 ~ 0.1까지의 몇 단계로 다 측정해 낼 수는 없어요. 평균적으로 2.0까지 표기하지만 그게 끝도 아니고요.


 

 

 

 

정리해 드리면,눈의 굴절 검사를 통칭 "시력검사"라고는 하지만 측정 방법과 도구와 수치는 다릅니다.

※ "시력"은

시력판은 눈이 좋은 사람들 또는 교정 상태의 눈의 판독 능력을 구분하기 위한 표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즉 , "시력"은 나안(맨 눈) 또는 교정(안경이나 콘택트렌즈 착용 후 ) 상태로 시력판의 숫자를 어디까지 읽을 수 있느냐입니다.

"도수"는

굴절이상인 눈의 굴절력을 광학기기로 측정해서 , 그 눈에 필요한 도구(안경, 콘택트렌즈)에 넣을 수치예요..


◎ 안경의 도수는

근시(-), 원시(+)와 숫자(power)로 , 단위는 디옵터(Diopter, D)로) 표기됩니다..

아래 표를 예로

 

내가 근시( - )만 있는 0.1 정도의 시력을 가진 경우,

내 눈의 굴절력이 3.00 D 가 나왔다고 하면 ,

렌즈의 도수(power) 도 3.00D 인 것으로 맞추는 거에요.

추가적으로 P.D(Pupil Distance, 동공 간 거리)와

난시의 경우 Axis(축의 방향) 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 내 도수는 " - 3.00 D"입니다.

(내 눈에 대한 정확한 굴절이상 수준이나, 안경이나 콘택트렌즈에는

'시력'아닌,ㅡ> "도수"가 진정 중요한 것! )

 

▷이 수치와 단위는 세계공통으로

안경이나 콘택트렌즈의 "시력"(No, No, 의미 없어요!!) 말고요,

" 도수( - 3.0 D) -근시나 원시 도수, 난시 도수, 축 방향, 동공 간 거리"를 아시면

외국에서도 내가 쓰던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그대로~ 구입하 실 수 있는 거예요.

 
도수-시력-비교표

옆에 / 도수 (굴절력(Diopter power))와 시력 간의

간단한 비교표를 보여드리는데요,

시력은 그냥 숫자,

안경도수는 근시의 예라서 (-) 부호가 붙어있는 거고요.

안경렌즈의 도수는 수치가 확실한데,

시력은 "예상"시력이라고 되어있고 수치도 확실하게 정해지지 않았죠?

그래서 편의상 구분하는 거라고 말씀드렸어요.

 

* 나안시력(맨 눈으로 보는 시력) 0.1 정도 인 사람의 경우,

- 근시인 경우는 S- 2.50 ~ S-3.75D 정도로 간단하게 나올 수 있고요,

- 거기에 근시+난시인 경우는 확률, 경우의 수처럼 앞 뒤 숫자가 엄청난 확률로 채워질 수 있기에 정확히 어디서부터 어디까지다라고 단정하기도 힘들어요,

예) S-1.50 C - 0.50이라는 조합부터, S-3.50 C-0.25 or S-0.75 C-5.25....

- 원시도 있고, 원시+원시성 난시. 원시+근시성 난시

예) S+1.00 or S+1.75 C-1.00 or S+3.00C+ 1.75.....

- 근시 원시 없이 난시만 있는 경우의 수도 상당해요.

dP) C-1.25 C-4.00....

그러니 #시력과 #도수의 상관관계는 그냥 저 정도의 표로 살짝 이해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반응형

'안경과 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경관리 잘하기  (0) 2023.05.08
공부 잘 되는 공부방 조명  (0) 2023.05.05
시력 좋아지는 방법은 없나요 ?  (0) 2023.05.01
안경쓰면 눈 더 나빠져요 ?  (0) 2023.04.30
안경렌즈 압축 ? 몇 번 할까요 ?  (0) 2023.04.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