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13

시력교정 상태가 자세에 미치는 영향 시력교정 상태가 자세에 미치는 영향 시력교정 상태가 자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기기 등의 장시간 노출은 우리 눈에 안정 피로를 유발하고 양안 망막에 맺히는 두 개의 상을 하나로 융합시키는 양안단일 시,, 안구의 모양체근 경련, 눈 깜빡임 횟수의 감소로 인해 안구건조증, 눈의 피로와 시력의 저하를 야기합니다. 디지털기기의 사용과 시기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보면 2시간 디지털기기를 사용 후 근시의 정도는 증가하였고, 나안의 시력은 저하되었습니다. 근시가 증가하고, 나안의 시력이 저하되면 먼 거리의 물체가 흐리게 보이기 때문에 화면을 가까이에서 보기 위한 반응, 목을 거북이처럼 앞으로 내밀게 되는 거북목증후군(forward head posture)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에게 컴퓨터 사.. 2023. 6. 19.
건성안 원인에 대한 연구 건성안 원인 건성안의 원인으로 건성안은 유병율이 높은 안과 질환으로 눈물막의 불안정으로 인해 안구에 불편감, 시력의 저하, 안구 표면의 손상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건성안은 흔한 질병이지만 중증으로 발전할 경우는 심한 안구의 통증과 각막의 손상이 유발될 가능성이 크고, 시각적 기능의 저하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느끼기도 하고 피로감이 심해져서 , 심리적 육체적으로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최근 스마트 기기의 사용 증가, 학습과 사무실 근무로 인한 근거리작업 시간 증가, 라식, 라섹 수술 및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증가 및 유해한 공기 중의 물질 등으로 인하여 젊은 성인에게도 건성안의 유병률이 증가되고 있습니다. 반면 중장년층에서는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심혈관 질환이 증가하고 있고, 마이봄샘이 손실되며 눈물 .. 2023. 6. 17.
디지털 기기로 인한 안정피로의 관리 -4 4) 청색광 차단렌즈의 이용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최신 디지털 기기는 높은 에너지인 가시광선 청색광(400~490nm) 방출합니다. 디지털 기기의 화면에서 방출되는 청색광에 대한 많은 우려가 있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장치에서 나오는 낮은 레벨의 청색광은 장시간 시청하더라도 생물학적 위험을 크게 나타내지는 않는다고 보도되었습니다. 그렇지만, 디지털 기기로 부터 발생하는 청색광은 눈에서 산란되기 때문에 초점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증가로 인한 시각적 피로 증상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러한 눈의 피로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청색광 차단 안경렌즈는 이론적으로 시력저하 없이 광독성을 10.6%~23.6%까지 줄여주기 때문에 청색광의 유해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 2023. 5. 22.
디지털 기기 사용으로 인한 안정피로의 관리-3 2) 안구 건조 관리 안구 건조증은 DES의 중요한 원인으로 간주됩니다. 주로 눈 깜빡임 특성의 변화 및 사무실 환경의 영향, 디지털 기기 사용에 따른 영향 이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무실의 환경은 일반적으로 낮은 습도, 에어컨이나 난방기구 가동, 각막의 건조를 촉진하는 공기 중의 먼지 입자 등을 원인으로 합니다. 데스크 탑의 모니터는 수평 시선으로 보게 되어 일반적으로 하향 시선으로 보는 기존의 읽기 작업보다 안검의 폭이 더 넓어져서 더 큰 안구 표면적이 눈물 증발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안구 건조증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 습윤제 또는 인공눈물의 사용을 권장합니다. 이런 점안액의 사용은 증상을 완전히 해결하기보다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동안에 피로감, 건조감 및 초점 맞추기 힘든 증상을 감소시.. 2023. 5. 19.
디지털 기기 사용으로 인한 안정피로의 관리 -2 2) 디지털 안정피로의 관리 디지털 기기의 사용으로 인한 눈의 피로도는 모든 연령에 거쳐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디지털 기기를 장시간 사용하면 눈이 건조해지고, 시야가 흐려지며 눈이 피곤해집니다. 이러한 눈의 피로는 일반적으로 근거리 작업을 오래 지속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증상과 비슷합니다. 현대 사회에서 스마트폰과 컴퓨터 사용을 줄이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그렇다면 디지털 관련 눈의 피로를 개선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디지털 안정피로의 진단 및 관리 개선을 위한 DES의 근본적 생리학적 연관성과 증상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디지털 기기 사용으로 인한 눈의 피로는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으니 개개인에 따른 맞춤 관리가 필요합니다. 임상실무자는 적적한.. 2023. 5. 18.
디지털 기기 사용으로 인한 안정피로의 관리 -1 1. 안정피로와 디지털기기의 관계 최근 몇 년 동안 모든 연령대에서 디지털 기기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업무 적 또는 교육 사회활동을 위해 매일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우리의 일상이 되었습니다. 컴퓨터의 보급이 우리 사회에 일반화되면서부터 안구 및 시각 관련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각 증후군(computer vision syndrome.CVS)은 20년 넘게 컴퓨터 사용자들 사이에서 눈 건강과 관련되어 공중 보건 문제로까지 인식되어 왔습니다. 디지털화된 사회에서 눈의 피로를 호소하는 잠재적 스트레스가 증가되고 있어 디지털 기기의 사용으로 인한 눈의 피로라 할 수 있는 관련 증상들의 범위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각적 문제를 폭넓게 반영하여 요즘에는 컴퓨터 시작 증후군 보다 디지털 .. 2023. 5. 17.
폭주와 개산 II 1. 폭주와 개산 1-1 폭주와 조절 폭주와 조절은 항상 연동하여 일어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인위적으로 어느 한 편을 일정한 양으로 유지시키면서, 다른 한 편만을 변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1) 상대 조절 정시, 정위의 사람에게 정중선상에 있는 일정거리의 시표를 주시시켜 폭주를 고정시킨 채, 양안에 (+) 혹은 (-)(-) 렌즈를 약한 도수에서 강한 도수로 점차 올리면, 한 순간은 흐려지지만 다시 곧 선명해지고 폭주는 고정됩니다. 도수를 변화시킨 만큼 폭주량은 변하지 않고 조절량만 변화합니다. 이와같이 단일 시를 유지시켜서 폭주량을 고정시킨 상태로 조절력만 변화되는 조절을 ‘상대조절’이라고 하고 오목렌즈를 강한 쪽으로 변화시키면서 일어나는 조절을 ‘실성 상대조절’이라고 하며 볼록렌즈의 경우 ‘허성 상대조절.. 2023. 4. 26.
폭주와 개산 폭주(convergence)와 개산(divergence) 1. 폭주(convergence)의 정의 좌, 우 양안의 주시선을 외부의 한 점을 향해 집중, 일치시키는 양안의 기능을 ‘폭주’라고 합니다. 좌, 우 양안의 정중선의 한 점에 폭주하는 것을 ‘대칭성 폭주’, 정중선 이외의 점에 폭주하는 것을 ‘비대칭성 폭주’라고 합니다. 한쪽 눈의 주시선은 그대로 전방을 보고 , 다른 눈만 폭주하는 것을 단안 폭주 또는 편안 폭주라고 합니다. 양안이 폭주된 상태에서 좌, 우 양안의 주시선이 이루는 각을 폭주각 이라고 하고, 정량적 표시에는 미터 각(meter angle, M.A)이라고 표시합니다. 폭주각은 좌, 우 양안의 회선점으로부터 주시점까지의 거리를 미터로 잰 수치의 역수로 정의합니다. 폭주 현상은 양안의 주.. 2023. 4. 25.
안구의 근육과 운동 - II 1. 안구의 운동 1) 제1 안위에서 외안근의 단안구 운동(monocular movement, duction) 양안이 제 1 안위에서 각 외안근이 수축하여 일어나는 단안의 회전운동입니다. 2) 제 2안위에서의 외안근의 단안구 운동(monocular movement, duction) - 내,외직근 내, 외직근의 제2 안위에서의 작용방향은 제1 안위에서와 같지만, 작용하는 힘만 다릅니다. - 상, 하직근 상직근을 예로 하여 상직근의 위치는 제11 안위에서의 안축에 약 23도의23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위치로서, 제 1 안위에서 상직근이 수축하면 같이 회전합니다. 이 경우 각막정점은 상전 하면서 내전 하고,, 내방으로 선회하게 됩니다. 제2 안위의 위치에서 안구가 23도 외전 하고 있을 때에는 안축과 상직근의.. 2023. 4.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