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기기 사용으로 인한 안정피로의 관리-3

by kelly325 2023. 5. 19.
반응형

2) 안구 건조 관리

 

안구 건조증은 DES의 중요한  원인으로 간주됩니다. 

주로 눈 깜빡임 특성의 변화 및 사무실 환경의 영향,  디지털 기기 사용에 따른 영향 이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무실의 환경은 일반적으로 낮은 습도, 에어컨이나 난방기구 가동, 각막의 건조를 촉진하는 공기 중의 먼지 입자 등을

원인으로 합니다. 

데스크 탑의  모니터는 수평 시선으로 보게 되어 일반적으로 하향 시선으로 보는 기존의 읽기 작업보다 안검의 폭이 더 넓어져서 더 큰 안구 표면적이 눈물 증발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안구 건조증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 습윤제 또는 인공눈물의 사용을 권장합니다. 이런 점안액의 사용은 증상을  완전히 해결하기보다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동안에 피로감, 건조감 및 초점 맞추기 힘든 증상을 감소시기는 수준입니다. 

디지털 스크린의 사용과 불완전한 눈 깜빡임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면 불완전한 깜빡이의 횟수를 줄이기 위한 깜빡임 훈련은 안구의 건조와 관련된 DES 증상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화면 위에 있는 반사 방지 필름은 눈 깜빡임의 횟수를 줄일 수 있고  DES의 증상도 줄일 수 있습니다. 

개선된 이미지는 보기위한 노력이 더 적게 요구되기 때문에 깜빡임의 횟수가 증가하여 눈의 피로를 완화시킬 수 있는 다른 치료방법으로 오메가-3 지방산 또는 블루베리 추출물을 이용한 보충제 복용도 추천됩니다.  

 또한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면서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그룹이  안구건조증 및 DES의 높은 위험군이라는 사실도 인지해야 합니다. 적절한 렌즈의 선택, 렌즈의 관리, 습윤, 시스템, 환경요인등의 관리를 통하여 콘택트렌즈 착용 관련 안구의 건조증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3) 조절과 이향운동 문제 관리

조절용이성 부족과 높은 조절래그와 같은 조절의 이상은 컴퓨터 사용을 포함하는 근거리 작업은 수행하는 동안 시각적 불편함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임상에서 조절용이성은 구면 플리퍼 렌즈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40cm에서 2.00D플리퍼를 사용하여, 성인인 경우 11 cpm이 유증상과 무증상을 구분할 수 있는 경곗값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조절래그는 일반적으로 원용 굴절이상을 교정하고 근거리의 물체를 주시하는 상태에서 동적 검영법을 사용하여 평가합니다.

실무자는 디지털 기기 사용자의 적절한 작업 거리에서 선명한 시력을 보장하기 위해,  디지털 스크린을 사용하는 거리에서 시기능검사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향운동 기능장애는 폭주의 부족, 비보정 사위 및 융합용이성의 부족 등 다양한 안구의 운동장애를 포함합니다. 양안시 문제가 있는 환자는 눈을 오래 사용하게 되면 심각한 시각적 증상을 경험할 수 있는데  지금까지 이향운동의 특징은 컴퓨터 작업과 관련하여 주로 연구되어 왔으나, 일관성 있는 결과를 보여주지는 못했습니다.  

미국 검안협회는 디지털 기기로부터 눈을 보호하고 DES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20-20-20규칙( 20피트 약 6cm 정도의 거리에 있는 물체를 보기 위해 20초 휴식)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잦은 짧은 휴식은 조절과 이향 운동의 반응을 이완시키게 되어 생산성을 손상 시키지도 않으면서 안정피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 한국안광학회지  논문 발췌

반응형

댓글